질적 연구는 어떻게 사회과학적 가치를 확보하는가?: 신뢰성과 외적 타당성 논쟁의 결과와 함의How Does Qualitative Research Secure Social Scientific Value?: Debates on Its Credibility and External Validity and Their Implications
진보정당의 계급적 지지 기반 분석, 2003~2023The Class Basis of Support for Progressive Parties in South Korea, 2003~2023
게시글의 높은 추천 수는 커뮤니티 내 여론을 의미하는가?: 에펨코리아(FMkorea)의 게시글에 참여한 이용자 다양성과 추천 수의 관계Do High Upvotes Reflect Community Consensus?: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Diversity and Upvotes in FM Korea Posts
Quo Vadis Science, Technology, and Society?: Light From the East
‘역사-사회’ 속 한국 예술계 읽기Korea’s Art World in History & Society
한국사회학회 연구윤리 강령 외
쉼 역량: 또 하나의 건강불평등Rest Capability: Another Health Inequality
횡단하는 참여자들: 사회운동 사회에서의 기후정의행진 및 퀴어퍼레이드 참여자들에 대한 특성 분석Spanning Participants in the Social Movement Society: The Individu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Protest Participants in South Korea
비정상성에서 취약성으로: 페미니즘을 경유한 여성 섭식장애 당사자의 경험 재해석From Abnormality to Vulnerability: Reinterpreting Eating Disorder Experiences Through Feminism
촛불 사회운동과 청년 참여자들의 정치적 주체화: 발리바르의 봉기와 시민권, 관개체성, 시민문명성의 관점에서Candlelight Social Movements and the Political Subjectivation of Youth Participants: From the Perspective of Étienne Balibar’s Insurrection and Citizenship, Transindividuality, and Civility
시민(사회), 국민(사회), 사회권: 한국 민주주의의 시민권적 (몰)진화Civil Society, National Society, Social Citizenship: The Citizenship (Non-)evolution of South Korean Democracy
게재논문 수정(정오표)
한국사회학회 연구윤리 강령 외
Validation of compatibility of industrial gateway devices
종교는 평화인가, 갈등인가? : 종교 스키마 국제 비교 연구
노동조합의 사회적 대화 정치의 성공을 위한 행위론적 조건 : 영향논리와 성원논리의 괴리 극복을 중심으로
인공지능의 발전과 국가, 시장, 시민사회
질적연구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진보할 것인가? : 계산사회과학과 질적연구의 관계에 대한 소고
거대언어모델을 활용한 생성형 행위자 기반 모형
사회학적 탐색을 위한 알고리즘의 해부학
위계적 집단주의에서 협력적 개인주의로
사회과학과 인공지능의 시대
한국사회학회 연구윤리 강령 외
가족배경이 학업성취도 우위로 이어지는 이질적 과정들 : 학교급과 과목에 따른 차이에 대한 분위회귀적 접근
'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페이션시' 알코올중독과 회복 체험의 연결망에서 발견된 고통과 삶
한국사회는 돌봄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: 2013~2023년의 언론기사를 중심으로
이태원 참사 159번째 희생자의 자살에 대한 사회학적 심리부검 : 재난참사 피해자의 재희생자화를 중심으로
독점화된 지방정치에서 벗어나기 : 기초의회의원 선거의 제도적 대안을 중심으로
거대언어모델을 활용한 설문조사의 현재와 한계
임베딩 벡터를 통해 우리 사회의 구조를 분석하기
대형언어모델의 사회과학적 활용 : 텍스트 측정을 위한 가능성과 보완점
알고리즘 공정성의 실제와 사회과학의 역할
셀프-어텐션(Self-Attention)을 활용한 집단 감정 서사 연구의 가능성
사회과학과 인공지능의 시대
한국사회학회 연구윤리 강령 외
한국 정신장애 당사자 운동의 난점과 전략적 딜레마
빈곤층 거주지 분리 양상 및 변화 추이, 2010~2023: 대전 사례의 함의
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 최저임금제도의 변화: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
한국사회학회 연구윤리 강령 외
학교실패와 상징폭력: 한국의 중등교육장에 대한 사례연구
한국에서 집단적 항의행동의 확산과 ‘분쟁사회’의 격화: 집회⸱시위 참여자의 이념적 양극화와 정치적 당파성, 2013~2022
계급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 변화: 나의 사회학 연구 50년 한국사회학 대회 기조강연(2023.12.15.)
한국사회학회 연구윤리 강령 외
학교실패와 상징폭력: 한국의 중등교육장에 대한 사례연구
한국 정신장애 당사자 운동의 난점과 전략적 딜레마
빈곤층 거주지 분리 양상 및 변화 추이, 2010~2023: 대전 사례의 함의
한국에서 집단적 항의행동의 확산과 ‘분쟁사회’의 격화: 집회⸱시위 참여자의 이념적 양극화와 정치적 당파성, 2013~2022
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 최저임금제도의 변화: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
계급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 변화: 나의 사회학 연구 50년
발전주의 인구레짐의 확산과 한계: 세계 출산율 추이 분석, 1950~2020년